전화상담 네이버 톡톡 카톡채널 블로그 오시는길
전화상담 톡톡상담 카톡채널 블로그 오시는길

치료 STORY

좋은 부산 수면클리닉을 잘 고르는 꿀팁 02

작성자: hyuncln 님 작성일: 2024-10-10 09:44 조회: 164회

4.  수면다원검사실 환경 구축을 꼼꼼히 확인하세요.

수면다원검사를 할 때 낯선 환경에서 기기를 부착한 채로 수면을 취하는 것이기 때문에 평소와 같은 수면을 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를 첫날밤 효과 (first night effect) 라고 하는데, 수면다원검사를 받을 때에는 평소에 비해 수면 시간이 감소하고, 잠을 쉽게 깨기가 쉽고, 렘 수면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첫날밤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수면검사실을 가능한 편안하게 만들어드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좋은 수면센터, 수면다원검사실을 만들기 위해 몇 달을 고민하고 꼼꼼히 체크하였습니다. 제가 개원전까지 가장 신경을 썼던 부분이 되겠습니다.

 

현신경과 수면센터를 만들기 위한 노력

서울아산병원과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수면다원검사실을 운영하면서 다양한 환자들의 불편함을 들어왔습니다.

제가 수면다원검사실을 만들면 꼭 이런 부분들을 개선한 수면다원검사실을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1) 침대는 가능한 크고 편한 것이 좋다.

- 입원 환자용 침대가 아닌, 집에서 쓰는 침대 중 고급형 퀸사이즈 침대를 구비하였습니다. 수면검사 중 몸부림을 치거나 잠꼬대가 심한 경우도 많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서도 큰 침대가 필요합니다.

- 너무 푹신하거나 너무 단단하지 않은 매트리스를 찾기 위해 수많은 매트리스에 직접 누워보았습니다. 스프링 꺼짐에 대해서도 AS가 가능하고 정기적으로 매트리스 캐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매트리스 관리에 신경을 썼습니다.


2) 밝기가 수면 환경에 맞아야 한다

- 수면을 위한 이상적인 밝기는 200럭스(lux) 이하입니다. 수면검사실은 보통 50~150럭스 정도로 만드는데 일반적인 병원 입원실 밝기가 300~500럭스 정도 되니, 수면다원검사실은 일반 입원실보다 다소 어둡다는 느낌이 들게 만들어야 합니다. 또한 수면을 방해하는 청색광이 적은 주황색 계열의 전구를 사용하고 간접 조명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조명외에도 가구 및 벽지의 색깔 또한 수면환경에 맞추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3) 습도, 온도, 소음에 신경 써야 한다.

- 모든 수면실에 방음처리를 꼼꼼히 하였고, 보온 능력이 좋은 침구류 선택 및 에어컨, 히터뿐 아니라 휴젠트 복합 환풍기도 설치하였습니다.


4) 화장실, 샤워실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수면검사 중 화장실을 사용하러 가는 경우가 많은데, 화장실이 외부에 있다면 잠이 깨버릴 수도 있습니다. 검사 전 따뜻한 샤워를 통해 좋은 수면을 취할 수 있고, 검사 종료 후 뇌파부착을 위한 젤 등을 깨끗이 씻고 귀가할 수 있게 해드려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현신경과의원 수면검사실은 3검사실 모두 개별 화장실/샤워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5)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수면다원검사 장비를 사용해야한다.

- 다양한 수면다원검사 장비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Xltek Brain Monitor 가 가장 정확하게 측정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뇌파나 수면 중 움직임을 측정보다는 수면무호흡 측정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타사 장비보다 성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장비 가격이 2배이상 이지만, 수면클리닉의 특성상 수면무호흡지수 외에도 정확한 뇌파 측정과 다른 지표들에 대한 측정이 매우 중요하기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 모든 장비를 Xltek Brain Monitor로 셋팅 하였습니다.


6) 기본이 되는 치료법을 먼저 권유하고 시도하는 병원을 고르세요.

수면무호흡의 가장 기본이 되는 치료는 “양압기” 입니다. 그리고 만성 불면증의 가장 기본 치료는 “인지행동치료”(수면습관개선) 입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치료를 먼저 시행했는데도 해결되지 않거나 소수의 특별한 상황에서 수술, 구강내장치, 수면제 및 기타 다른 추가적인 치료들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기본이 되는 치료를 뛰어 넘어 2번째, 3번째 치료를 먼저 시행한다면 제대로 치료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7) 수면환자의 진료에 많은 질문을 하는 병원을 고르세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수면장애는 매우 복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수면환자 볼 때 수면상태, 수면환경, 낮 동안의 생활, 복용약물과 과거력을 아주 자세히 질문하게 되어서 20-30분정도의 긴 시간을 한 환자분에게 할애하기도 합니다. 이도 모자라 더욱 꼼꼼히 체크하기 위해 진료 전 다양한 설문지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한가지 증상만으로 수면장애를 진료하지 않는 병원이 정확한 진료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